“아! 큰 맥락에선 하나구나. 다만 이를 나타내는 형태에서 차이가 나는 것뿐이구나.”
컴퓨터공학에서는 자료구조가 DT와 ADT로 나뉘어 진다. DT (Data structure) 는 ADT 를 이루고 있는 세부 구현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ADT 는 그에대한 추상 자료구조 타입이라고 생각하면 될것 같다.
리스트 → Linked List → Array
LinkedList
순수하게 기능이 무엇인지를 나열한것을 가리켜 추상 자료형 또는 간단히 ADT 라고 한다.
“구조체와 관련된 연산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도 자료형 정의의 일부라는 것군요. 근데 구조체 변수를 피연산자로 하는 연산은 대입연산 외에 몇개 없으니, 별도로 연산의 종류를 정의할 것도 없을 것 같은데요?”
기본연산의 의미가 아니고 Wallet 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 관련 연산을 의미하는 것이다.